2013년 12월 31일 화요일

2013년 12월 넷째주

12. 24
아직도 광고에서, '세계최초', '세계최초' 한다. 8~90년대 제조업 기반의 시대에서나 통할법할 단어인 '세계최초'의 중요성은 이미 끝났는데도, 아직도 광고에서는 그걸 떠들고 앉았으니...지금 성공한 제품들을 봐라. 세계최초인 제품이 얼마나 되는지, 정말 중요한 건 남들보다 빨리 만드는 게 아니라, 고객이 원하는 것을 만드는 것이다.

12. 26
우리나라의 역사든, 세계의 역사든, 되돌아보면 당연히 가야할 길임에도 불구하고, 
전혀 반대의 길을 걷는 시대를 만들어내는 이들이 있었다. 
그리고 그것은 현재의 사람들에 회자되며 혹독한 비판과 비난의 대상이 된다.
지금 그들은 권력에 맛과, 사리사욕에 취해 나라를 좀 먹고 있지만, 
훗날 역사는 지금의 그들에게 혹독한 비판을 가할 것이 너무나도 자명하다. 
자식과, 역사 앞에 전혀 부끄러움이 없는 그들. 
비록 살아 있을 때 심판을 하지 못할 수 있지만, 
니네들은 몇백년이 흐르더라도 언젠가는 반드시 후세들에게 침을 맞을 것이다.

12. 27
영화 '변호인'을 봤다. 기대를 하진 않았는데, 며칠만에 400만 관객이 돌파할 만큼 재미난 영화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아마 영화 자체의 재미보다, 노무현에 대한 오마주, 30여년전 그 때와 작금의 상황이 오버랩되는 상황때문에
 영화가 더 흥행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며칠만에 400만이면, 아마 천만 가까운 관객이 영화를 볼 것이고, 
그렇다면 단순 계산으로 5명 중 1명이 변호인을 봤다는 얘기가 된다. 
제각각 감상은 다르겠지만, 대부분의 사람이 영화를 보고 국가가 조작하는 사건에 분노한다고 생각할때, 
그들 중 대다수는 지금 민주노동당과 이석기 의원에게 행해지는 검찰과 국정원의 행위하고 다름이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까? 영화속 내용에 대해서는 분노하면서 현실의 상황에 대해서는 외면하거나, 다른 잣대를 보이는 사람이 많지 않기를 바란다.
26년, 남영동 1985, 집으로 가는길, 변호인 등 국가가 자행하는 폭력에 대해 적나라하게 고발하는 영화들이 많이 개봉이 되는요즈음이다. 
예전에는 지식인, 노동자, 농민, 학생 등에 의해 한발짝씩 사회를 진일보시켰다. 그러나 현재 학생운동세력은 궤멸됐고, 각각을 대표하는 정당 및 단체는 한 목소리를 내지 못한채 제자리 걸음만 하고 있다. 이런 와중에, 오히려 영화계가 자본과, 배우의 힘을 빌어 세상을 조금이라도 더 낫게 하는 데 가장 많은 역할을 하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또 하나 언제나 정치계, 특히 야당은 제 역할을 한 적이 없다라는 것이다.

12. 28
'천안함 프로젝트'를 봤다. 군대와 정부가 날조한 이 코미디는 역사라는 단어를 들먹일 필요도 없이, 조만간 가장 큰 웃음꺼리로 모두에게 알려질 사건이 된다에 내 손모가지를 건다.

12. 30
김광석의 절친 한동준씨가 휴대전화에서 번호를 아직도 지우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지우지 못한 사람이 나 뿐만은 아니구나...

댓글 없음:

댓글 쓰기